발달장애 관련 궁금한 단어를 찾아보세요.
말늦은 아이
표현 어휘 발달의 현저한 지체를 보이는 아동이다. 말늦은 아이의 진단 기준은 청력 손상, 인지적 문제, 신경학적 결함, 정서·행동적 문제가 없고 표준화된 표현 어휘 검사 결과 10퍼센트 또는 -1SD미만인 아동으로 18~23개월의 아동 중 표현 어휘가 10개 미만인 아동 또는 24개월~36개월의 아동 중 표현 어휘가 50개 미만이거나 두 단어 조합이 나타나지 않는 아동이다. 말늦은 아이들은 3세 이후에는 언어 발달 지체를 나타내고, 학령기 이후에는 읽기장애 또는 학습장애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출처: 특수교육학 용어사전,2009,국립특수교육원
무장애디자인(Barrier Free Design)
사전적으로는 장애(barrier)를 없애는 디자인이라는 의미로, 장애인이 장벽으로 느끼는 물리적인 장애를 제거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경사로를 설치하여 계단이라는 물리적인 장애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1974년 국제연합장애인 생활환경전문가회의에서 '무장애 디자인'에 관한 보고서에 처음 등장했다.
무장애디자인의 목적은 '첫째, 장애인에게 비장애인과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둘째, 노인이나 장애인의 일상생활에서 이들의 사회참여를 막는 것을 장애라고 할때, 이 장애를 없앰으로써 사회참여가 쉬운 환경을 만들자는 것이다. 그러나 물리적인 장애의 제거만을 목적으로 할 경우, 장애를 강조(휠체어 리프트 등)하거나 은폐(부출입구에 설치된 경사로 등)할 가능성이 있어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인 보편적 디자인의 발단이 되었다.
-출처: 장애인복지용어핸드북,한국장애인개발원
무학년제
획일적인 학년제의 틀을 벗어나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흥미에 맞는 학습을 통해 잠재적인 가능성을 최대한 신장시키려는 목적으로 고안된 학교 조직의 하나이다. 신체 발육이나 정서 발달까지 고려하면서 상황에 따라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을 모두 활용하여 학생 그룹을 탄력적으로 편성함으로써 개개인의 흥미와 관심, 학습 진도에 알맞은 계속적 성장을 꾀하는 데 중점을 둔다.
무학년제 학교는 1942년 미국 위스콘신 주 밀워키에서 처음 실시된 이후 1950년대 후반부터 급속히 보급되었다. 전미국교육협회(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NEA)는 미국의 교육을 재검토하여 각 연대별 교육지표를 밝힌 보고서에서 무학년제를 전통적인 학교 조직을 대체할 학교 조직의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이후 미국 사회의 구조적인 여러 요인에 따라 학력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교육 내용이나 지도 방법, 학교 조직, 교수 조직 등의 교육혁신에 대한 반성으로 그 추세는 둔화되었다.
-출처: 특수교육학 용어사전,2009,국립특수교육원
물리치료
열,광선,초음파,운동 등 여러 가지 물리적 요소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것.
물리치료는 크게 온열 치료, 한냉 치료, 수 치료, 전기 치료, 기계적 치료, 운동 치료 등으로 나뉜다.
-온열 치료는 핫팩(hot pack), 적외선, 파라핀욕, 회전욕(whirpool) 등을 이용하여 피부 및 진피에 열을 가하는 표재열 치료(superficial heat)와 단파 치료, 초단파 치료, 초음파 치료 등을 통해 피하지방, 근육 및 관절 등에 열을 가하는 심부열 치료(diathermy)가 있다.
-전기 치료는 경피적 전기 신경 자극을 통해 동통을 완화시키며, 기능적 전기 자극 치료를 통해 마비된 근육 또는 신경을 자극하여 근육의 기능적 움직임을 강화시킨다.
-기계적 치료는 척추견인 치료와 동통의 감소 및 근경련 감소를 위한 마사지가 있다.
-운동 치료는 관절 운동과 일상 생활 기능에 필요한 기능적 운동 그리고 운동 실조나 조절장애가 있는 경우 시행하는 조절과 협응 기능을 위한 운동으로 나뉜다.
-출처: 특수교육학 용어사전,2009,국립특수교육원
미숙아 망막증
미숙아의 미성숙한 혈관이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수축되어 폐쇄됨으로써 망막혈관의 이상으로 약시 혹은 실명이 초래되는 시각장애이다.
과거에는 산소가 유일한 유발인자라고 여겼으나, 저체중, 임신 기간, 이산화탄소의 혈액 내 분압 등 여러 요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본다. 이 질환은 보육기가 처음 소개되었을 당시 높은 빈도로 발생했으나 산소 농도를 엄격히 제한하여 많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초극저체중 미숙아의 생존율이 높아짐으로써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섯 단계로 분류하며, 1기에서 3기 도중에 자연 퇴행하여 정상 시력을 나타내기도 하나, 근시와 사시가 잘 생기고 뒤늦게 열공망막박리가 생기기도 한다. 5기에 이르면 시력과 대광반사도 소실되며, 녹내장, 백내장, 홍채염 등 합병증으로 안구 위축에 이르는 것이 보통이다. 예후가 매우 불량하므로 관찰이 중요하고 시지각 기술, 보행 기술을 지도해야 한다.
-출처: 특수교육학 용어사전,2009,국립특수교육원
바우처(이용권)
바우처제도란 정부가 수요자에게 쿠폰을 지급하여 원하는 공급자를 선택하도록 하고, 공급자가 수요자로부터 받은 쿠폰을 제시하면 정부가 재정을 지원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이때 지급되는 쿠폰을 바우처(이용권)라고 한다.
일종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증서와 같다. 노인, 장애인, 산모, 아동 등 사회서비스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일종의 이용권을 발급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서비스 바우처가 대표적이다. 또 문화 향유 기회가 적은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바우처가 존재하며, 저소득층에게 임대료 일부를 지원해 주는 주택바우처 등 다양한 바우처가 존재한다.
-출처: 시사경제용어사전, 2010.11, 대한민국정부
발달장애
발달이 평균으로부터 유의미하게 일탈하여 신체적, 정신적 또는 두 가지 영역 모두에서 심각하고 만성적인 장애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장애.
발달장애라는 개념은 미국 공법 88-164, 「정신지체 시설 및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 건축법」(Mental Retardation Facilitie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Construction Act of 1963)에서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이 법에서는 발달장애를 정신지체, 뇌성마비, 간질 또는 18세 이전에 발생하는 기타 여러 신경학적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교적 항구적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정의하였다.
그러나 1984년 미국 공법 98-527인 「발달장애인법」(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of 1984)에서는 발달장애에 특별히 정신지체, 뇌성마비 등의 특정 장애의 명칭을 표현하지 않았으며, 22세 이전에 발생하는 것으로 연령을 변경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의 진단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주요 일상생활에서 3가지 이상의 기능에 명백한 제한이 나타나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주요한 일상생활은 자기관리(self-care), 수용 및 표현 언어(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학습(learning), 이동(mobility), 자기 지시(self-direction), 독립 생활 능력(capacity for independent living), 경제적 자족(economic sufficiency)의 7가지 영역이다. 이 정의에서 만성적인 것은 전 인생에 걸쳐서 그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장애의 상태가 심각하여 중증(severe)이라는 의미는 그 한계가 명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이 법률에 따르면 정신지체이면서 장애의 정도가 매우 가벼운(mild) 수준은 발달장애의 범주에 포함시켜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체적, 정신적 또는 신체와 정신 양측 모두에서 장애를 나타내는 것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학습장애, 자폐 범주성 장애, 뇌성마비 등을 발달장애에 포함시키기도 하고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또한 발달장애는 통상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이유로는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제4판(DSM-Ⅳ)의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DD)에 자폐성 장애, 레트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를 소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특수교육학 용어사전,2009,국립특수교육원
발달재활서비스
성장기의 정신적·감각적 장애아동의 인지, 의사소통, 적응·행동, 감각운동 등의 기능향상과 행동발달을 위한 적절한 발달 재활 지원 및 정보제공, 높은 발달재활서비스 비용으로 인한 장애아동 양육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데 목적을 둔 서비스.
서비스 대상은 만 18세미만의 뇌병변, 지적, 자폐성, 청각, 언어, 시각 장애아동이며 전국가구 평균소득 150%이하(소득별 차등 지원)가구로서 만 6세미만의 영유아의 경우, 장애등록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뇌병변, 지적, 자폐성, 청각, 언어, 시각 장애가 예견되어 발달재활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의사의 진단서와 검사자료가 제출된다면 지원 받을 수 있음(장애 미등록 시 만6세 생일이 도래하는 달까지만 지원)
-출처: 장애아동복지지원법
발달지체
정상적인 발달 속도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느린 발달의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예측되는 장애의 의심 상태, 또는 발달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느리기 때문에 발생한 다양한 장애의 유형을 통칭한다.
주로 학령기 이전의 아동에게 어떤 특정한 진단명을 부여하는 것이 그들에게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갖게 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장애에 대한 낙인의 효과는 학령전기뿐만 아니라 학령기에도 계속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학령기의 장애아동에 대하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신지체를 발달지체로 표현하는 것은 특정 장애의 명칭을 탈피하여 가급적 장애가 아닌 아동 자체의 긍정적인 측면을 바라보기 위한 시도이다. 이러한 점에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특수교육의 대상으로 발달지체를 별도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한 것은 법률에 제시된 장애 유형만이 특수교육 대상이 아니라 학습에 곤란을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아동들을 특정한 장애가 아닌 발달지체의 개념에 포함시킴으로서 특수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배려라고 할 수 있다.
-출처: 특수교육학 용어사전,2009,국립특수교육원
방어기제
자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거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여, 감정적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 의식이나 행위를 가리키는 정신분석 용어.
이 말은 1894년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논문 《방어의 신경정신학》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방어기제는 자아와 외부조건 사이에서 겪게 되는 갈등에 적응하도록 하여 인간의 심리 발달과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면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갈등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속이고 관점만을 바꾸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게 되는 부정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방어기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부정, 억압, 합리화, 투사, 승화 등의 방법이 일반적이다.
-출처: 두산백과